본문 바로가기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 분산투자가 필요 할 때

책소개

요즘 인플레이션 시대니 물가인상이라는 말이 뉴스에 많이 나온다. 인플레이션이라는 건 내게 너무나 생소하다. 겪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이후에 양적완화로 돈을 엄청나게 많이 풀었어도 오지 않았던 인플레이션이 왜 지금에서야 찾아온 것일까?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 책에서 그 답을 찾아보자.

거시경제 전문가 오건영님의 신간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인플레이션이 나온 이유

인플레이션은 1970년대 이후에 40년 동안이나 숨어 있었기에 우리 기억 속에서 잊혀진 존재 같았다고 한다. 그렇다면 호리병 속에 갇혀 있던 인플레이션이라는 괴물이 나온 이유가 무엇일까?

우선 코로나19 이후에 나온 과감한 경기부양책으로 인한 돈풀기이다. 그리고 코로나가 완화되면서 점점 억눌려있던 수요가 폭발하게 되고 이 수요를 공급망이 따라가야하는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의 총제적인 교란이 일어남으로써 원자재 가격의 폭등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코로나 기간 동안 자산가격도 폭등했고 노동자의 일자리 복귀가 지연되면서 임금인상이라는 상황까지 더해져 인플레이션을 가속시켰다.

성장과 물가 어떻게 될 것인가?

저자는 성장과 물가라는 두 가지 거시경제 변수가 만들어 내는 4가지 상황에 따라 투자의 전략이 달라져야한다고 한다. 지금은 고물가 저성장 혹은 고물가 고성장의 중간 쯤에 와있다고 한다. 지금의 상황은 고물가이므로 원자재나 금을 통해서 인플레이션을 방어할 수 있다. 4가지 상황에 맞게 유리한 자산을 선택하면 되지만 단순한 4지 선다형 문제가 아니라고 한다.

예를 들어, 고물가에서 저물가 저성장의 상황으로 간다고 하면 물가가 이제 낮아졌으니 성장을 올리기 위해 연준이 시장에 돈을 푸는 전략을 쓸 수 있겠지만 코로나로 인해 이미 연준은 막대한 양적완화를 강행했고 더 이상 이런 카드를 쓸 수 없는 상황이다.  연준이 도와줄 수 없는 이런 상황이 결국은 투자의 난이도를 높인다고 한다.

 

어떻게 투자해야하는가?

저자는 이런 상황에서 특정 자산군에 집중 투자하는 건 좋지 않다고 한다. 어느 상황으로든 옮겨 갈 수 있으므로 경제상황을 예의 주시 하되 지금 인플레이션 시기를 방어할 수 있는 원자재와 금, 그리고 달러에 대한 적립식 투자를 하면서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야한다고 한다. 앞으로 연준이 계속 금리를 올리고 지속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는 방향이 예상 되므로 고물가에서 저물가로 내려갔을 때를 예상하고 다시 수혜를 볼 수 있는 채권이나 주식도 천천히 담아가는 전략을 써도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