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느 날 갑자기 공황이 찾아왔다.

공황장애가 찾아오다

친구가 공황장애를 겪었습니다. 옆에서 지켜보았던 저도 갑작스러웠는데 그 친구는 얼마나 힘들고 고통스러웠을까요. 공황장애를 겪었던 친구는 병원도 다녀보고 유투브도 보면서 증상에 대한 여러 자료들을 공부했습니다. 그리고 이 책을 접했고 기존 접근과는 다른 부분들을 찾아냈습니다. 그리고 책에서 말한 긍정적인 시냅스를 강화하는 문장들을 적어 내려갔습니다. 증상은 개선되었고 지금은 공황에 빠지지 않습니다. 이 책이 여러분들에게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어느 날 갑자기 공황이 찾아왔다

공황이란 무엇인가?

공황장애란 극도의 불안과 두려움을 갑작스럽게 느끼는 불안증세의 일종입니다. 죽을 것 같은 공포감과 숨을 쉬기 힘들어 하는 호흡곤란, 가슴의 답답함, 어지러움 등 다양한 신체 반응이 일어납니다. 갑작스럽게 왜 이런 반응이 일어날까요? 왜 몸은 이렇게 극단적으로 반응하는걸까요?

 

공황장애가 일어나는 이유

우리 몸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신호를 보냅니다. 더우면 땀이 나서 열을 방출하듯이 물리적으로 무언가를 배출하거나 정신적으로 자극을 주거나 하는 방식으로 우리에게 신호를 줍니다. 우리는 그 신호를 잘 알아차려야 하죠. 하지만 항상 제대로 알아차릴 수는 없습니다. 공황이 나타나는 주요 원인은 위와 같은 몸의 신호를 무시하거나 억누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우리 몸의 잠재의식에는 우리가 갖고 있는 불편한 감정과 불만이 모두 담겨 있는데 이 잠재의식이 계속 신호를 보냈음에도 그걸 무시 했던 우리에게 몸이 극단적인 신호로 반응을 준다는 것입니다. 근심 걱정의 기억이 뇌 안에 저장되기 때문에 부정적인 생각을 자주하면 신경학적으로 공황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나쁜 감정, 경험은 결국 공황으로 빠져드는 길을 만들어 놓는 셈입니다.

 

그룹치료와 면담으로 치료할 수 있을까?

공황은 우리 몸과 잠재의식이 보내주는 위기대처 프로그램 혹은 우리 몸을 보호하는 신호 정도로 이해하면 좋습니다. 공황자체가 힘들고 두렵고 갑작스러운 일이지만 우리에게 무언가 바꿔야한다고 알려주는 신호입니다. 공황이 왔음에도 기존과 똑같은 행동을 한다면 또 다시 공황이 찾아올 확률이 높습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치료법들이 있습니다. 그룹치료, 대면치료, 공포에 대해 얘기를 나누는 면담 등 고전적인 치료 방식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방법들로 쉽게 해결되지 않는 경우들이 많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기존의 치료법이 아닌 뇌와 사고의 방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뇌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길래?

우리의 뇌는 생각들을 단순히 컴퓨터처럼 저장하는 게 아니라 시냅스의 형태로 신경 연결로 만들어 나간다. 신경 연결은 우리가 무슨 생각을 하자 마자 만들어진다. 부정적인 생각을 계속 하면 그런 신경 연결이 강화되게 되어 있고 긍정적인 생각을 계속 한다면 긍정의 신경 연결이 강해지는 것이다. 그래서 위에서 말한 그룹치료나 면담에서는 오히려 나쁜 감정과 공포의 순간들을 다시 떠올리거나 복기를 하면서 그 시냅스를 더 강화하기 때문에 쉽게 치료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는 뇌의 작동방식을 이용해야 한다. 생각을 할 때 뇌에서 시냅스 연결이 형성되는 걸 이용한다면 강한 감정에 대해서 시냅스의 연결은 점점 강화된다. 우리는 여기에 긍정적인 연결들을 강화해 나가야한다. 어떻게 할 수 있을까?

 

공포를 멈추는 기술

이는 간단하다. 질문을 하고 10개의 문장으로 답을 해보는 것이다. "당신의 삶이 멋지다고 하면 어떤 모습일까요?에 대해서 질문을 하고 10개의 문장으로 답을 해보는 것이다. 문장에는 부정어없이 자발적이고 긍정적이며 구체적인 내용들을 적어야 한다. 그렇게 문장들을 적어나가고 계속 반복해서 연습한다면 부정적인 시냅스의 연결은 무너지고 긍정의 시냅스가 자리 잡을 것이다. 점점 더 건강한 뇌가 만들어 지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저자가 말하는 새로운 치료법이다. 너무 간단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 스스로를 돌아본다면 그 동안 우리의 생각에 많은 부분들이 불안과 공포를 만들어 내는 생각들로 채워졌는지 깨닫는다. 공황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그런 생각들을 지워버리고 더 건강한 삶을 위한 생각들을 집어넣는 것이 바로 핵심이다.